본문 바로가기
Information

6개월 근무 후 육아휴직 신청하기? 1년 근무와 차이점은?

by 15sjdkfa 2024. 3. 7.
반응형

6개월 근무 후 육아휴직 신청하기? 1년 근무와 차이점은?

 

육아는 부모의 소중한 책임이며, 이를 위해 국가에서는 육아휴직 제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육아휴직은 자녀 양육을 위해 일시적으로 휴직을 신청할 수 있는 제도이며, 이 기간 동안에는 일정 금액의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육아휴직 신청에는 자격 조건이 있으며, 근무 기간도 이 조건 중 하나입니다. 이 글에서는 6개월 근무 후 육아휴직 신청과 1년 근무 후 육아휴직 신청 시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
육아휴직 신청 자격 조건

육아휴직 신청 시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  • 만 8세 미만 자녀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경우
  • 당해 사업장에서의 계속 근로 기간이 6개월 이상인 경우
  • 육아휴직 신청 당시 고용 계약 상태가 해지 예고 또는 파견 근로자 해지 통보를 받지 않은 상태인 경우

위와 같은 조건을 모두 만족한다면 육아휴직 신청이 가능합니다.

6개월 근무 후 육아휴직 신청

2018년 5월 29일 개정 시행된 노동기준법에 따라 6개월 이상 근무한 근로자는 누구나 육아휴직 신청이 가능합니다. 따라서 만 6개월 근무 후에도 육아휴직 신청이 가능합니다. 하지만, 6개월 미만 근무한 경우 법적으로 육아휴직 권리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업주의 승인 여부에 따라 신청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.

하지만 6개월 미만 근무 시 육아휴직 급여를 받는 데는 제한이 있습니다. 육아휴직 급여는 고용노동부 산하 고용보험으로부터 지급되며, 법적으로 인정된 육아휴직 조건을 충족해야만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따라서 6개월 미만 근무 시 육아휴직 급여는 받을 수 없습니다.

1년 근무 후 육아휴직 신청과의 차이점

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의 경우, 육아휴직 신청 시 특별한 차이점은 없습니다. 다만, 2024년 하반기부터 시행 예정인 '3+3 부모 육아휴직제도'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이 제도는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임금의 100%를 지급받을 수 있는 특례입니다.

결론적으로 6개월 이상 근무한 근로자는 육아휴직 신청이 가능하며,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와 신청 자격 조건이나 혜택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. 다만, 6개월 미만 근무 시에는 사업주의 승인 여부에 따라 신청이 가능할 수 있으나 육아휴직 급여는 받을 수 없습니다.

육아휴직 신청 시에는 반드시 소속 사업장의 근로조건 규정이나 담당 부서에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.

 

더 자세한 자료 보기

 

 

반응형